작성자: 브레인
2025.01.24. 10:13
애당초 AWG 규격에는..... 허용전류 따위는 없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AWG는 ASTM-B258 규격에서 정의 되었는데요.....
아래 링크에 있습니다.
https://www.altanatubes.com.br/Blog/AWG/ASTM-B258.pdf
자, 그럼 허용 전류표는 누가 왜 만든것일까요 ?
그냥,.... 각자 필요한곳에서 필요한 상황에 맞게 허용 전류표를 만든것 뿐입니다.
A 라는 사람이(회사/단체가?) 만든 허용 전류표가 B 라는 회사/단체/목적에도 잘 맞을까요?
당연히 그렇지 않겠죠.....
전기전선은 전기저항을 갖고있는 구리로 만들어지고, 당연히 단면적이 작아지면 단위 길이당 전기저항이 커집니다.
전기저항을 갖고있다는 얘기는 전류를 흘리면 전압강하가 생긴다는 얘기이고,
전압강하가 생긴다는 얘기는 발열이 발생한다는 얘기가 되겠지요.
같은양의 열이 발생해도, 피복 재질에 따라 열 전도율이 달라질테니 도선의 온도는 다를수 있겠구요....
피복 재질에 따라 더 높은 온도에도 견딜수 있는 피복이라면,.... 단순히 화재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는 기준을 갖다대면,.... 피복 재질이나 두께만 가지고도 허용 전류값은 달라질수 있습니다.
또한, 여러 전선 한가닥이 자유공간에 설치된 경우와 전선 여러 가닥을 꼬아서 PVC 피복을 했다면..... 방열 조건이 달라지니 실제 도선의 온도는 서로 다를수밖에 없습니다.....
정리하면,
...
...
AWG 규격에는 허용전류 따위는 없습니다.
특정 소재를 이용해 특정 두께로 전선 피복을 만든후 자유공간에 설치했을때 특정 전류를 흘리면 몇도까지 온도가 상승한다~~~ 정도의 데이터는 만들수 있습니다.
아래 Wiki page 를 보면 그런 관점에서 잘 정리를 해 놓았네요.....
https://en.wikipedia.org/wiki/American_wire_gauge
또한.....,
발열뿐만 아니라 전압강하 문제도 있습니다.
발열이 문제가 아니라 수십 mV 의 전압강하도 허용이 안되는 상황이라면 1~2Amps 전류를 흘리는곳에 AWG 10 이하를 사용하는 일도 생기기 마련입니다.
특히나 스텝모터의 경우라면 전압구동이 아닌 전류구동 방식으로 구동을 하는것이 일반적이니... 전선에서의 전압강하 따위는 스텝모터의 성능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못합니다. 따라서, 발열만 용인할 수 있다면 꽤나 얇은 전선을 사용 할 수도 있게 됩니다....
더 극단적인 예를 들어보자면.....
심지어 peek등 특수 불연 전선 재질을 사용하면 주변온도 40도일때 아래 링크처럼 AWG26 허용전류로 무려 6.0A 를 해당 전선의 허용 전류로 규정할 수도 있게 됩니다.
http://www.ihwire.com/technical6.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