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근성 있는 웹 콘텐츠 설계

이 문서에서 목표로 하는 것을 개괄하면, 모든 사용자가 그 내용을 인지할 수 있으며, 운용할 수 있고, 이해할 수 있는 웹 콘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현재까지 개발된 보조기술이나 앞으로 개발될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도 염두에 두고 있다. 접근성이 준수된 웹 콘텐츠란 아래의 네 가지 지침을 만족하는 경우에 가능하다. 따라서 이 문서에서는 아래의 네 가지 지침에 포함되는 모든 검사항목을 만족해야 접근성이 있다고 하며, 일부분 또는 전체 검사항목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접근성이 없는 웹 콘텐츠라고 정의한다.

인식의 용이성
글로 표현할 수 없는 콘텐츠를 제외하고 장애 유형에 관계없이 모든 사용자가 콘텐츠를 인지할 수 있도록 제공해야 한다.
운용의 용이성
콘텐츠에 포함된 모든 구성 요소들은 장애 유형과 관계없이 모든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해의 용이성
모든 콘텐츠는 가능한 한 그 내용과 사용 방법을 모든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구성해야 한다.
기술적 진보성
현재 개발된 보조기술로는 접근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웹 콘텐츠는 가용한 보조기술을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도록 대체 콘텐츠를 함께 제공해야 한다.

접근성이 있는 웹 콘텐츠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만이 아니라 다양한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는 휠체어를 타고 있는 사람에게만 유용한 것이 아니라 유모차로 이동하는 사람이나 노약자에게도 유용하다. 마찬가지로 접근성이 있는 웹 콘텐츠는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나 그렇지 않은 사람 모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음이 심한 지역에서 웹사이트에 접근하거나 웹 문서상의 음성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에 캡션이 제공된다면 제한적인 환경에도 불구하고 그 내용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운전중인 경우에는 눈을 다른 데로 돌릴 겨를이 없기 때문에 문서를 읽어 주거나 음성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콘텐츠가 매우 유용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영화에 캡션(자막)이 제공된다면 검색 엔진을 활용하여 이 영화로부터 유명한 대사를 쉽게 찾을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기도 한다.

여기서 고려해야할 장애의 유형과 장애를 극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대체 수단 에 관한 몇 가지 방법을 살펴보자.

  1. 들을 수 없는 사람은 일반적으로 소리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눈으로 보고 싶어한다.
  2. 볼 수 없는 사람은 시각적으로 제공되는 정보를 텍스트 또는 점자 정보로의 변환을 통해 듣거나 읽을 수 있기를 원한다.
  3. 민첩하거나 용이하게 움직일 수 없는 사람은 가능한 한 적게 움직여서 원하는 일을 하거나 필요한 만큼 충분한 시간동안 작업 할 수 있기를 원한다.
  4. 글씨를 잘 읽지 못하는 사람은 그 내용을 음성으로 읽어주기를 원한다.

위에 예로든 네 가지 경우는 모든 장애 유형이나 경우를 망라한 것이 아니며, 자주 접하게 되는 경우에 이에 대한 대책을 예로 든 것이다. 따라서 보다 복잡한 경우에는 또 다른 접근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

만약 어떤 웹 콘텐츠가 이 문서에서 제시하는 항목에 따라 제작된다면 사용자는 보조 기술을 사용하여 웹 콘텐츠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예를 들어 스크린 리더(screen reader)와 적당한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사용하면 웹 페이지의 내용을 음성으로 읽어줄 수 있어서 음성으로 그 내용을 읽어주기 원하는 모든 사람들의 접근권을 보장할 수 있다. 스크린 리더와 같이 장애유형별로 웹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많은 보조기술들이 개발되어 있으므로 장애 유형과 필요한 보조기술을 활용하여 웹 콘텐츠에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사항은 관련 장애인 단체에서 제공하는 정보나 웹사이트를 참고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