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1.2 영상매체의 인식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영상매체는 해당 콘텐츠와 동기 되는 대체 매체를 제공해야 한다.
용어정리
-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영상매체(time-dependent presentation)란 영화와 같이 소리와 영상정보가 동시에 제공되는 경우 혹은 콘텐츠 재생 과정의 특정 시점에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또는 대화가 필요한 매체를 말한다.
- 대체 매체(equivalent media)란 영상매체의 음향정보를 캡션과 같이 시각적으로 보여주거나 영상의 기본적인 내용을 화면해설 형태로 제공하는 매체를 의미한다.
- 화면해설(audio descriptions)이란 영상의 광경, 동작, 비언어적 표현, 그래픽 등의 상태나 변화를 음향정보로 나타내거나 텍스트로 제공하여 필요한 설명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화면해설은 해당 이벤트와 동기 되어 진행되어야 한다.
- 캡션(captions)이란 영상매체에 포함된 말, 음향 및 주변소리 등을 텍스트로 표현한 매체를 의미한다. 따라서 캡션은 영상매체의 진행에 따라 해당 이벤트와 동기 되어야 한다.
요구조건
- 음향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없는 모든 영상매체는 캡션을 함께 제공해야 한다.
- 캡션은 영상매체나 음향매체와 동기 되어야 한다.
- 모든 생방송은 캡션을 실시간으로 제공해야 한다. 단 음성이 없는 음악 방송의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 콘텐츠는 사용자가 캡션과 영상정보를 동시에 접해야 그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서는 안 된다. 즉, 캡션과 영상정보는 서로 보완관계가 되지 않아야 한다.
적용시 장점
- 청각장애인은 음향매체와 함께 제공되는 캡션을 통해 음성이나 음향 정보에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캡션을 활용하면 해당 콘텐츠에 대한 인덱스를 작성 하거나 내용을 검색할 때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장애인이 아닌 경우에도 영상매체와 함께 동기 되는 대체 매체가 제공되는 경우에 보다 편리하게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션은 소란한 환경이나 오디오 재생기능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경우 유용하며, 외국어 습득과 같이 언어능력이나 읽기 능력을 높이는데 활용될 수 있다.
- 화면해설의 경우에는 화면을 보지 않더라도 중요한 정보를 음성으로 알 수 있게 해주므로 시각을 통해 사물을 인식하기 어려운 장애인의 경우에는 화면해설을 통해 화상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그러나 화면해설은 필수사항으로 분류하지 않는다.
적용 예
- 동영상 : 화면해설과 캡션 활용
- 예를 들어, 한 아이가 강아지를 자신의 침대로 오도록 과자를 늘어놓고는 강아지에게 웅얼거리며 무언가를 말하고 있는 장면을 가정한다면, 화면을 볼 수 없는 사람은 이 장면을 이해할 수 없다.따라서 이 경우에
이 아이가 계단으로부터 자기 침실에 이르는 계단마다 과자를 하나씩 늘어놓았다
라는 화면해설과아이가 웅얼거린다
라는 캡션을 제공한다면 청각장애인이나 시각장애인 모두 그 내용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 - 뉴스 동영상 : 영상과 동기되는 캡션 제공
- 예를 들어, 홍수가 난 대도시의 광경을 기자가 설명하고 있다고 가정할 경우에 기자가 하는 말을 캡션으로 표시하면 청각장애인이 기자의 이야기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 무언극 : 장면별로 장면소개 텍스트 제공
- 예를 들어, 사다리를 올라가는 무언극(팬터마임 : pantomime)의 한 장면을 애니메이션으로 구성하였을 경우에
사다리를 올라가는 장면
이라는 대체 텍스트를 애니메이션에 포함시키면 이로써 충분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