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건너뛰기

인터넷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Internet Web Contents Accessibility Guideline)

지침 2. 운용의 용이성

웹 콘텐츠에 포함된 모든 요소들의 기능은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항목 2.4 키보드로만 운용 가능

키보드(또는 키보드 인터페이스)만으로도 웹 콘텐츠가 제공하는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용어정리

  1. 키보드 인터페이스란 키보드 또는 특수한 입력장치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이 필요한 모든 정보를 입력받도록 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2.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란 마우스나 터치패드와 같이 컴퓨터 화면의 특정한 부위를 직접 지정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3. 음성 입력 장치란 음성으로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시스템 또는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요구조건

  1. 웹 콘텐츠는 키보드 또는 장애를 극복하도록 도와주는 여러 가지 입력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콘텐츠가 제공하는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적용시 장점

  1.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를 사용할 수 없는 시각장애인들도 웹 콘텐츠나 웹사이트 기능을 키보드만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키보드 또는 키보드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없는 지체장애인의 경우에는 키보드 대신 음성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웹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다.

적용 예

이벤트 발생 방법 : 다양한 입력장치 사용 가능
웹 콘텐츠에서는 포커스 인(focus-in), 포커스 아웃(focus-out), 그리고 활성화(activation)의 세 가지 이벤트가 주로 사용된다. 또한, 이들 이벤트는 포인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음성 입력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입력 디바이스로 제어가 가능하다.
콘텐츠의 제어 : 키보드 또는 키보드 인터페이스 사용 가능
콘텐츠를 구성하는 모든 링크와 데이터 개체의 실행과 선택은 키보드 또는 키보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어,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콘텐츠 요소들 간의 이동은 탭(tab)키를 사용하여 가능하도록 구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