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건너뛰기

인터넷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Internet Web Contents Accessibility Guideline)

지침 2. 운용의 용이성

웹 콘텐츠에 포함된 모든 요소들의 기능은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항목 2.6 반응시간의 조절기능

실시간 이벤트나 제한된 시간에 수행하여야 하는 활동 등은 사용자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읽거나, 상호작용을 하거나 응답할 수 있어야 한다.

용어정리

  1. 실시간 이벤트(real-time event)란 콘텐츠의 저자가 시간을 통제할 수 없는 실시간 상황에 벌어지는 이벤트를 의미한다.
  2. 정해진 시간 내에 응답이 필요한 콘텐츠들은 다음과 같다.

    1. 자동적으로 갱신되도록 구성된 콘텐츠
    2. 몇 초 후에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콘텐츠
    3. 깜빡이는 텍스트나 스스로 스크롤 하도록 구성된 텍스트
    4. 짧은 기간 동안 나타났다 일정시간 후에 사라지는 대화창
    5. 일정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페이지에 대한 접근이 강제 차단되거나 사용 할 수 없게 되는 콘텐츠
  3. 팝업(Pop-Up) 창이란 활성화되어 있는 웹 브라우저에 담긴 콘텐츠가 어떤 동작에 의하여 또는 자동으로 새로 열린 웹 브라우저 창을 의미한다. 그러나 운영체제가 표시하는 메시지 창은 팝업 창으로 분류하지 않는다.

요구조건

  1. 웹 콘텐츠의 시간 제약 조건이 최소한 아래의 항목 중 하나는 만족하여야 한다.

    1. 사용자가 시간제한 기능을 동작하지 않도록 할 수 있거나,
    2.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선호하는 시간의 10배 이상으로 제한 시간을 늘릴 수 있거나,
    3. 주어진 시간이 종료하기 전에 경고를 발하며, 제한 시간을 늘리기 위하여 최소한 10초 이상 시간이 주어질 수 있어야 한다.
  2. 그러나 아래의 항목은 예외로 하되, 시간제약이 있음을 이 페이지에서 분명하게 알려 주어야 한다.

    1. 경매 등과 같이 시간 제약이 있으나 다른 대안이 없는 경우거나,
    2. 실시간 게임이나 시간이 정해진 범위에서 작업해야 하는 테스트 등과 같이 시간 제약이 필수적인 경우
  3. 팝업(pop-up) 창은 가급적 사용을 피해야 한다. 그러나 꼭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팝업 창이 열리기 전에 사용자에게 경고를 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팝업 창이 열리더라도 포커스가 새로 열린 팝업 창으로 이동해서는 안 된다.

적용시 장점

  1. 독서 장애, 인지 장애, 학습 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기록된 문서를 읽고 이해하는 데에 대부분의 사람들보다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2. 지체장애인들은 이동 객체에 대해 반응할 만큼 빠르게 동작하거나 정확하게 움직일 수 없다.
  3. 자주 갱신되는 콘텐츠에서 보조 기술이나 음성 브라우저 등이 정해진 시간 내에 이 콘텐츠를 읽거나 처리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 시간 제약에 구애받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4. 팝업 창을 사용하면 시각장애인의 경우에 새로운 창의 열고 닫힘을 잘 알 수 없으므로 매우 불편하다. 그러나 부득이해서 팝업 창을 사용해야만 하는 경우에는 창이 열리기 전에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주어 시각장애인들이 팝업 창이 열린다는 것을 사전이 인지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적용 예

시간제약이 없는 콘텐츠 구성
웹 콘텐츠를 구성할 경우에 시간제한을 두지 않도록 한다.
시간제한이 있는 콘텐츠 구성
시간제한을 둘 경우에는 이러한 사항을 사용자가 충분히 알 수 있도록 공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경과시간과 남은 시간을 화면에 표시하거나 그 값을 스크린 리더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웹사이트 : 사이트 맵의 운영
웹 콘텐츠의 첫 페이지에 사이트 맵으로 이동하는 링크를 제공하면 모든 페이지를 열람하지 않고도 필요한 웹 페이지로 직접 이동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