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3.3 온라인 서식 구성
온라인 서식을 포함하는 콘텐츠는 서식 작성에 필요한 정보, 서식 구성 요소, 필요한 기능, 작성 후 제출 과정 등 서식과 관련한 모든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용어정리
- 온라인 서식(on-line form)이란 웹 브라우저 상에서 작성하여 제출하도록 제공되는 양식을 의미한다.
- 애플릿(applet)이란 웹 페이지에 삽입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 플러그인(plug-in)이란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는데 함께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플래시(flash) 등이 플러그인의 하나이다.
요구 조건
- 온라인 서식을 구성하는 모든 서식 제어 요소, 예를 들면, 편집 상자(edit box), 라디오 버튼(radio button), 체크 박스(check box) 등은 레이블과 해당 서식 제어 요소간의 표시 순서가 일정하여야 한다.
- 탭(tab)키를 이용하여 서식 제어 요소 간을 이동할 경우에 그 순서가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 부분으로 순차적인 이동이 가능하여야 한다.
- 서식을 구성할 때에 보조기술을 사용하면 접근이 가능한 경우에만 스크립트, 애플릿, 플러그인 또는 다른 프로그램 요소를 사용한다.만일 이것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스크립트, 애플릿(applet), 플러그인(plug-in) 등 프로그램 요소의 기능을 정지시켜도 온라인 서식을 작성할 수 있어야 한다(항목 4.1 참조).
적용시 장점
-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온라인 양식을 작성함에 있어서 모든 서식 제어 요소의 레이블과 서식 제어 요소간의 관계가 일관성을 가지게 되므로 사용자는 혼란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적용 예
- 편집 박스 프로그래밍 예
-
예를 들어, 레이블 다음에 편집 박스(edit box)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프로그래밍을 하면 된다.
<LABEL for="first_name">이름: <INPUT type="text" id="first_name" tabindex="1"> </LABEL>
이 경우에 커서가 편집 박스에 위치하면,스크린 리더는‘이름’이라고 읽어준다.
- 편집 박스의 기본값 제공
- 편집 박스는 기본값을 가능한 한 제공한다.
- 편집 박스 테이블 구성
- 편집 박스를 데이터 테이블 형태로 구성할 경우에는 편집 박스별로 테이블 헤더를 읽어주도록 구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