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건너뛰기

인터넷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Internet Web Contents Accessibility Guideline)

지침 2. 운용의 용이성

웹 콘텐츠에 포함된 모든 요소들의 기능은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항목 2.1 이미지 맵 기법 사용 제한

이미지 맵 기법이 필요할 경우에는 클라이언트측 이미지 맵을 사용하며 서버측 이미지 맵을 사용할 경우에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텍스트로 구성된 대체 콘텐츠를 제공해야 한다.

용어정리

  1. 이미지 맵(image map)이란 이미지의 일부 영역에 링크를 두어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하도록 만드는 프로그램 기법이다.
  2. 서버측 이미지 맵(server-side image map)이란 이미지 맵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서버측에 존재하여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가 이미지 맵 상의 어떤 그림 위에 마우스를 위치시키고 클릭하면 클라이언트가 마우스의 위치정보를 서버로 제공하고, 서버는 전달되어온 마우스의 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 맵의 영역이 지시하는 링크로 이동한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표시하는 방식의 프로그램 기법이다.
  3. 클라이언트측 이미지 맵(client-side image map)이란 HTML 태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브라우저에서 이미지 맵의 영역을 식별하여 직접 해당 영역이 지시하는 링크로 이동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기법이다.

요구조건

  1. 구성하려는 이미지 맵의 형태를 클라이언트측에서 기하학적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경우가 아니면 서버측 이미지 맵을 사용하지 않는다.
  2. 서버측 이미지 맵 기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이미지 맵의 영역에 대응하는 텍스트 링크를 별도로 제공해야 한다(항목 1.1 참조).
  3. 클라이언트측 이미지 맵을 사용할 경우에는 이미지 맵의 영역에 대한 충분한 대체 텍스트를 제공하여야 한다(항목 1.1 참조).

적용시 장점

  1. 서버측 이미지 맵 방식에서 서버는 해당 영역에 대한 대체 텍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못하며,단지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할 뿐이다.따라서 이 항목을 적용하면 대체 텍스트 링크가 없는 서버측 이미지 맵의 사용을 제한하므로 시각장애인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2. 클라이언트측 이미지 맵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영역을 표시하는 부분에 대체 텍스트를 함께 표시한다면 이미지 맵의 영역을 읽어주므로 시각장애인들이 이미지 맵의 어느 영역을 가리키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항목 1.1 참조).

적용 예

클라이언트측 이미지 맵 : 대체 텍스트 지원
<AREA> 태그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측 이미지 맵을 작성할 경우 대체 텍스트를 해당 영역에서 제공하여야 한다.
서버측 이미지 맵 : 링크목록 제공
서버측 이미지 맵을 사용할 경우에는 대체 텍스트로 구성된 링크목록을 같은 페이지에 제공하면 시각장애인들이 텍스트 링크를 사용하여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다(항목 1.1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