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건너뛰기

인터넷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Internet Web Contents Accessibility Guideline)

지침 2. 운용의 용이성

웹 콘텐츠에 포함된 모든 요소들의 기능은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항목 2.3 깜박거리는 객체 사용 제한

콘텐츠는 스크린의 깜빡거림을 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용어정리

  1. 스크립트(script)란 컴퓨터에 자동으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나열한 파일로 일반적으로 텍스트 파일 형식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요구조건

  1. 웹 콘텐츠에는 애니메이션 등과 같이 깜빡거리는 주파수의 범위가 3Hz에서 49Hz 사이인 콘텐츠 요소들을 포함하지 않아야 한다.
  2. 만일 앞에서 명시한 요구조건을 만족할 수 없는 웹 콘텐츠는 깜빡거림이 있는 웹 페이지로 이동하기 전에 이 페이지에 깜빡거림이 있음을 사전에 사용자에게 경고해주어야 한다. 또한, 스크린의 깜빡거림이 배제된 대체 페이지를 별도로 제공하여야 한다(항목 1.1 참조).

적용시 장점

  1. 광과민성 발작 증세를 지닌 사람들은 빛이 깜빡거리는 것에 반응하여 발작을 일으킨다. 특히 3Hz에서 49Hz의 사이의 깜빡거림은 발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며, 20Hz 부근이 발작을 가장 잘 일으키는 주파수이다. 따라서 첫번째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콘텐츠의 경우에는 광과민성 발작중세가 있는 사용자도 접근이 가능하다.
  2. 정신이 산만한 사람의 경우에는 계속적인 깜빡거림이 있는 콘텐츠를 집중하여 응시할 수 없으므로 이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콘텐츠는 정신이 산만한 사람도 접근이 가능하다.

적용 예

첫 페이지 구성 : 깜박거리는 개체 배제
웹사이트에 처음 접속했을 때에 스크린에 나타나는 첫 페이지에는 최소한 깜빡거림이 없도록 콘텐츠를 구성하며, 만일 다음 페이지에 깜빡거림이 있는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경고문을 첫 페이지에 표시하고, 깜빡거리는 콘텐츠를 제거한 대체 페이지와 이 페이지로 이동하는 링크를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스크립트 사용 : 스크립트 동작하지 않도록 설정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깜빡이는 텍스트(blinking text)를 구성하면 스크립트가 동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깜빡임을 제거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 기법 : 객체를 깜박거리게 하는 태그 사용 배제
<BLINK> 또는 <MARQUEE> 태그는 사용하지 않는다.